본문 바로가기
Baby/육아정보

임신 주수 계산/분만예정일 계산/임신 확인 후 병원 방문 시기

by 지맘 :D 2021. 5. 18.
반응형

 

축하드려요. O주차 입니다!

 

© Terri Cnudde, 출처 Pixabay

임테기로 두줄 확인을 한 후 병원을 방문하면 마지막 생리일에 따라 초음파를 본다. 초음파를 하고나면 듣게 되는 말이다. 그런데 이 주수 계산법은 수정되고 나서부터가 아니라 마지막 생리일 기준이다. 쉽고 간단하게 포털 사이트에 있는 임신 주수 계산기를 이용하면 마지막 생리 시작일을 기준으로 쉽게 계산해 볼 수 있다.

나의 기준으로 하면, 나는 4월 7일에 마지막 생리를 시작했고, 병원 방문을 7주차 정도에 하고 싶다. 포털 사이트에서 대략 7주가 언제인지 알 수 있고, 정확도는 90% 정도 된다고 한다. 물론 사람마다 생리 주기가 다르기 때문에 정확한 태아의 주수와 분만예정일은 진료 후 초음파 상의 태아 크기나 발육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실제로 진료 중간에 태아 상태에 따라 변경되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총 임신기간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는 여러가지가 있지만 마지막 생리 시작 첫째 날로부터 애략 280일 또는 40주이다. 

 

왜 수정부터가 아니라 마지막 생리 시작일을 기준으로 계산할까?

기존에 만들어진 난자는 생리를 끝으로 모두 사라지고 마지막 생리 이후로 새로운 난자가 만들어지기 때문에 새롭게 난자가 생성되는 시기부터 태아로 인정하여 계산한다고 한다고 한다.

 

임신 주수는 왜 중요할까?

물론 가장 임신 주수를 가장 궁금해 할 사람은 바로 산모이다. 산모의 몸에 태아를 품고 있기 때문에 얼마나 자랐는지, 언제 출산을 하는지 항상 신경쓰일 것이다. 임신 주수는 아기가 태어날 출산 예정일을 계산하는데 필요하며 출산예정일을 가늠해 출산 준비를 하고 주수에 맞는 태아의 상태를 확인하기에 중요하다. 임신 기간동안 태아의 발달 상태와 산모의 건강을 확인할 수 있는 검사가 동반되어야 하기 때문에 주수별 검사를 알아두는 것도 필요하다. 병원을 첫 방문 하기 전 내 임신 주수를 미리 알고 병원에 방문하면 도움이 될 것이다.

© Marjon Besteman, 출처 Pixabay

임테기 확인 후 병원 방문은 언제쯤 하는 것이 좋을까?

임신을 기다리를 분들 같은 경우 임테기에 두 줄만 나와도 바로 병원을 방문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특히 얼리 임테기를 사용한 경우 병원에 가더라도 아기집을 보기 힘들고, 피검사 수치로만 임신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때 피검사 수치마저도 낮게 나오는 경우 재방문 해서 수치가 높아지는지 확인하게 된다. 이때 아기집, 난황 등을 바로 확인할 수 없으니 자궁 외 임신 등 좋지 않은 소리로 걱정만 가득 쌓이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가장 좋은 시기는 임신테스트를 하고 난 후, 진하게 두 줄이 보인 다음에 일주일 정도 후에 방문하는 것이 좋다고 한다.

임신테스트를 하는 시기는 마지막 생리한 날로 부터 4~5주 정도 되는 시기로 사람마다 생리, 배란주기가 모두 다르므로 생리 예정일을 기준으로 하는 것이 가장 좋다.

 

생리 예정일이 지났는데도 생리를 안한다면 임테기를 이용해 임신확인을 먼저 하고, 그로부터 약 일주일 뒤에 방문하면 아기집을 볼 수 있다고 한다. 조금 더 인내심이 더 있으신 분들은 2주 정도 더 지나서 병원에 방문하면 아기 심장 소리도 들을 수 있다고 한다. (물론 이것은 개인차가 있고 생리주기가 불규칙한 경우 한번 더 병원에 방문해야 들을 수 있는 경우도 있고, 때로는 2주가 되지 않았는데도 심장소리를 듣는 경우도 있다고 하니 참고만 하시길)

 

그래서 나는 아기집, 난황, 아기심장 소리를 모두 들을 수 있는 7주차 경에 방문을 하려고 한다. 8주차에는 흔히 임산부들이 젤리곰이라고 불리는 형태의 아가를 만날 수 있다고 한다. 이때 문제가 있어도 병원에서는 "1주일 후에 다시 보죠." 등과 같이 시간이 지나서 확인하는 방법 밖에 없다고 하니 최대한 무리하지 않고 병원 방문할 주수까지 기다리는 것이 좋을 것 같다. 단, 입덧 등 임신 초기 증상으로 인해 몸이 힘들거나 피가 비치는 등의 증상 또는 유산 경험이 있다면 병원에 방문해 안정적으로 검사를 받고 필요한 약을 처방받는 것이 좋을 것 같다.

 

모두 건강한 아이 출산을 하시길 바랍니다. :) 

반응형

댓글